침 뜸 부항
침 뜸 부항으로 혈자리를 자극하면 두뇌로 전달됩니다.
10년도 전에 f-MRI로 연구가 된 사실입니다.
한음 뿐 아니라 미국 국립보건원에서도 우울증 산모 분들에게 항우울제 대신 침 치료를 시행하여 효과가 좋았다는 논문이 발표 되었습니다.
당연히 보험적용도 되기 때문에 비용대비 효과가 좋습니다.
동의보감에는 불면증을 不眠(불면) 惡夢(악몽) 등으로 치료하였습니다
소아 불면증은 따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바로가기“한국 처음”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
기본 욕구 중에서 가장 큰 것이 수면입니다. 못 먹어도 살지만, 못 자면 못 삽니다.
낮에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짜증이 잘 납니다. 회사에서 실수가 많아지고 동료 관계도 문제가 생깁니다.
저녁만 되면 가슴이 답답하고 누우면 생각이 많아집니다.
머리만 대면 코고는 남편이 부럽기도 하고 얄밉기도 합니다.
가족의 이런 말은 가슴 깊이 상처로 남습니다.
생활의 불편함이 아니라 질병으로 인식해주세요.
단순 불편함으로 치부하기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정신과 기록 걱정 NO마음편한 개인치료실 YES상담치료도 보험 되는 한음
첫 진료검사 상담 치료
다음 진료상담 침 아로마 치료 등
한음은 꿀잠 뿐 아니라 건강한 신체까지 되돌려 드립니다.
잠을 못 주무시는 유형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유형별로 치료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진단해야 합니다.
둘 다 수면이 과하게 나타나는 것은 맞지만 알고 보면 다른 질환입니다.
1D서양의학에서는 두뇌(신경) |
|
2D심리학에서는 심리(마음) |
|
3D한의학에서는 장부(경혈) |
|
빛 공해로 어둡지 않은 밤처럼, 미세먼지로 뿌연 낮처럼
불면증은 밤 뿐 아니라 낮에도 우리 두뇌를 어지럽힙니다.
너무 다행입니다. 오래 되었어도 괜찮습니다.
잘 주무시는 날이 조금씩 늘어나고,
못 주무시는 날이 조금씩 줄어듭니다.
한 달에 30~40% 씩 좋아져서 3개월을 목표로 합니다.
우울 불안 화병 등이 동반되었다면 같이 치료해드립니다.
이런 경우 1-3개월 더 걸릴 수도 있습니다.
수면제의 양은 점점 늘어나는데 효과는 줄어들고,
낮 동안의 멍한 느낌이 심해져서 많이 오십니다.
바로 끊지 않고 천천히 줄이는 것을 목표로
3-6개월 치료합니다. 절대 힘들지 않게
도와드리니 걱정 말고 상담 받으세요.
단순 불면증으로 병원 가셨는데 우울증이 원인이라고 해서
항우울제를 같이 드시는 경우입니다.
걱정 마세요. 의사선생님 말씀이 맞습니다.
하지만 수면제와 신경안정제는
내성과 중독의 위험이 있으니 빨리 줄이고 싶어하십니다.
갑자기 끊지 않고 천천히 줄이면서 힘들지 않게
도와드립니다. 3-6개월 목표로 합니다.
조금만 줄어도 아침이 상쾌해집니다.
두뇌(신경)의 문제
심리(마음)의 문제
장부(경혈)의 문제
기계검사(두뇌검사, 자율신경검사), 심리평가, 상담으로 정확한 진단
그렇지 않습니다.
빠른 경우 수 일만에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수면제처럼 드시면 확 주무셨다가 안 드시면
하나도 못 주무시는 경우는 없습니다.
한 달에 30~40% 씩 수면이 깊어집니다.
오히려 낮 동안의 집중력을 올려드립니다.
물론 한약을 처음 드셨을 때 처음 며칠, 혹은 농도가 강한 경우 그럴 수는 있습니다.
그럴 때는 상의해서 조절해드립니다.
아닙니다. 잘끊어집니다.
오히려 치료 안 받아도 잠을 잘 주무셔서 상의 없이 중단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정해진 기간은 치료를 받으셔야 재발을 잘 안하니,
마음 편히 충분 기간 치료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스스로 잠이 오게 하는 방법들을 알려드리니 걱정 안 하셔도 좋습니다.
술은 드시면 빨리 주무실 수는 있지만 수면이 얕아져
자주 깨고 불면증이 악화됩니다.
또한 내성이 생기면 술을 더 많이 드셔야 주무실 수 있습니다.
보통 불안이 많은 분들이 술을 많이 찾게 돼서 같이 치료해 드립니다.
수면 유도제 역시 내성과 중독이 되기 때문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저녁 때 과한 운동은 좋지 않습니다.
'몸을 지치게 해서 쓰러져 자자'라고
많이 하시지만, 실제로는 뇌가 더 각성하게 됩니다.
적당한 산책은 괜찮습니다.
낮잠은 전날 부족한 잠의 보충이 아닌,
오늘 잘 잠의 대출입니다.
낮잠 주무시면 오늘 못 주무십니다.
언 발에 소변보기 같은 악순환을 일으킵니다.
잠이 안 올 때는
억지로 누워있지 마세요.
침실에서 나와 지루한 책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TV나 스마트 폰은 뇌가 자극받아 좋지 않습니다.
TV를 켜거나 전등을 켜고
주무시지 마세요.
깊은 잠에 들어가지 못합니다.
불안이 있으면 이러한 자극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니 검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