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eum
의학 논문
한음이 발표한 의학논문입니다.
한의학 정신요법을 이용한 소아 전환장애 환자 1례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 지지적 정신치료와 행동치료-
초록
통제적이고 강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로 유발된 내면의 불안 및 갈등이 '항문의 이상 감각'이라는 신체화 증상으로 상징화되어 표출된,
전환장애로 의심되는 7세 여환아(女患兒)에게 한약(韓藥)치료와 더불어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을 적용하여 약 2개월간 치료하였다.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은 한의학 정신요법 중 하나로 현재 임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지지적 정신치료 및 행동치료와 유사하다.
의료진은 이를 본 증례의 환아(患兒)에게 2개월간 적용하여 증상이 80%이상 소실되는 긍정적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동의 심리 발달과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등과 같은 중요한 심리 환경적 요인들이 부적절하여 아동의 내면에 갈등이 생기면 심인성의 신체증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는 전환장애의 심리기제와 매우 흡사하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동의 심인성 신체 증상을 치료하는 장면에서, 우선 성장 환경의 문제점 혹은 환아(患兒)의 성격 기질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등과 같은 한의학 정신요법을 이용해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한다면 이른 시간 안에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다.
본 증례는 그 좋은 예라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case report presents a 7-year-old female patient diagnosed with conversion disorder improved by application of oriental medical psychotherapy,
the Giungoroen.
Her chief complaint was dysesthesia of anal.
Methods : Through interview and several psychological testing such as HTP test, DAF test, JTCI 7-11,
we assessed her psychological state and seek for the psychological reason induced her physical symptom,
dysesthesia of anal. After assessment we concluded her main psychological problem was loss of love relationship with her parents.
So we decided to use supportive psychological 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like changing upbringing attitudes of her parents, for example- with Herbal medicine treatment.
Results : After 2-month of therapeutic period, chief physical symptom of patient-dysesthesia of anal-was reduced to 20% compared with first visit day.
Conclusions : The Giungoroen corresponds to supportive psycho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
And this oriental medical psychotherapy is fairly effective on the treatment of conversion disorder in childhood.